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동산정보25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 거주의무기간 중 부부 공동명의 불법 최근 국토교통부가 분양가 상한제 주택의 실거주 의무를 3년 유예하는 주택법 개정안을 시행하면서, 이에 따른 부부 공동명의 변경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 부동산 공동명의 신청방법 바로가기  개정 주택법 제57조 2항에 따르면, 분양가 상한제 주택의 실거주 의무 기간이 3년으로 유예되었습니다. 문제는 이 기간 동안 아파트 소유권을 부부 공동명의로 전환하는 것이 '권리 변동'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명의 변경을 통해 잔금을 마련하려는 경우, 이는 실거주 의무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부부 공동명의 변경이 불가하다는 유권해석을 내놓았습니다. 실거주 의무 기간 중 명의 변경은 '권리 변동'으로 간주되어 불법으로 처리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분양가 상한.. 2024. 6. 23.
부동산 아파트 주택 특별, 일반 공급 및 전용, 공급 면적이란? 아파트를 구매할 때 공급면적, 전용면적, 특별공급, 일반공급 등 다양한 개념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개념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최근 정부의 아파트 공급 계획과 청년·신혼부부·출산가구 지원 정책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아파트 구매 시 꼭 알아두어야 할 정보들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부동산 아파트 주택 특별 공급   2024년 3월부터 시행되는 청약제도 변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신생아 우선공급과 신생아 특별공급이 신설되어 2세 이하 자녀 (태아 포함)가 있는 가구에 혜택이 제공됩니다. 둘째, 다자녀 기준이 자녀 2명 이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셋째, 부부 개별 청약 신청이 허용되어 부부 모두 당첨 시 먼저 신청한 것이 유효합니다. 넷째, 배우자의 주.. 2024. 6. 19.
부동산 동향을 보는 금융 (LTV, DTI, DSR, LTI) 가계부채 관련 용어 부동산 시장을 이해하고 가계 재무 상황을 파악하는 데 있어, LTV, DTI, DSR 등의 금융 지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번 글에서는 이러한 지표들의 개념과 최근 정부 정책에 따른 변화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부동산 시장과 가계 부채 동향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LTV (Loan To Value ratio, 주택담보대출비율) : LTV는 부동산 투자에서 주택 가치 대비 대출 금액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이는 주택 구입 시 대출을 받을 때 금융기관이 활용하는 핵심 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LTV = (대출 금액 / 주택 가치) x 100%대출 금액 : 주택 구매를 위해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 잔액주택 가치 : 시중에서 평가된 주택의 시가 또는 정부에서 .. 2024. 6. 9.
[부동산시장 지표 용어] PIR 소득대비주택가격비율, K-HAI 주택구입능력/부담지수, RIR 월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 [부동산시장 지표 용어] RIR 소득대비주택가격비율, HAI 주택구입능력/부담지수, RIR 월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  부동산 시장을 이해하는 데 있어 다양한 지표들이 활용됩니다. 그중에서도 RIR(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 RIR(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 HAI(주택구입능력지수), K-HAI(주택구입부담지수) 등은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지표들을 통해 주택 구매 및 임대 시 재정적 부담 수준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부동산 시장 지표들의 개념과 활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RIR 소득대비주택가격비율 바로가기 PIR (Price to Income Ratio, 소득대비주택가격비율) : PIR은 소득 대비 주택 가격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주택 구매력을 .. 2024. 6. 8.
반응형